JUMP UP WITH JNU
미래를 선도하는 창조적인 글로벌 인재 육성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이공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의학계열 학과간협동과정
07 06 석사학위 과정 박사학위 과정 학과 전공 학과 전공 국어국문학과 경영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회학과 농업경제학과 회계학과 중어중문학과 무역학과 행정학과 독일학과 정치외교학과 관광경영학과 일어일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언론홍보학과 지속성장데이터사이언스학부 지리학과 관광개발학전공 경영정보학전공 경제학전공 국어국문학과 경영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회학과 농업경제학과 회계학과 중어중문학과 무역학과 행정학과 정치외교학과 관광경영학과 일어일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언론홍보학과 지속성장데이터사이언스학부 법학과 교육학과 어문교육학부 사회교육학부 도덕윤리교육학부 관광개발학전공 경영정보학전공 경제학전공 국어교육전공 영어교육전공 초등영어교육전공 사회교육전공 지리교육전공 초등사회과교육전공 윤리교육전공 초등도덕교육전공 석사학위 과정 박사학위 과정 학과 전공 학과 전공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 지구해양융합학부 기계공학전공 에너지화학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지구해양과학전공 해양시스템공학전공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 지구해양융합학부 기계공학전공 에너지화학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지구해양과학전공 해양시스템공학전공 석사학위 과정 박사학위 과정 학과 전공 학과 전공 원예학과 해양산업경찰학과 생물학과 농학과 화학과 식품영양학과 수학과 전산통계학과 생활환경복지학과 패션의류학과 간호학과 바이오소재공학과 해양생명과학과 의생명·신약개발학과 생명공학부 융합교육소프트웨어학과 약학과 물리학과 동물생명공학전공 분자생명공학전공 원예학과 해양산업경찰학과 생물학과 농학과 화학과 식품영양학과 수학과 전산통계학과 생활환경복지학과 패션의류학과 간호학과 바이오소재공학과 해양생명과학과 의생명·신약개발학과 생명공학부 과학교육학부 약학과 물리학과 동물생명공학전공 분자생명공학전공 물리교육전공 생물교육전공 컴퓨터교육전공 초등과학교육전공 초등실과교육전공 인문사회 계열 이공계열 학과(전공) 자연과학 계열
09 08 석사학위 과정 박사학위 과정 학과 전공 학과 전공 의공학 한국학 해양기상학 금융정보학 차세대융복합과학기술 시각융합디자인학 융합정보보안학 한국어교육 지하수학 반도체 지식재산융합학 의공학 한국학 해양기상학 풍력특성화 차세대융복합과학기술 융합정보보안학 지하수학 문화예술경영학 지식재산융합학 학과간 협동과정 협동과정 명 모집학과(전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축공학과, 물리학과,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기계공학전공, 에너지화학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전공) 풍력공학부(풍력기계시스템전공, 풍력전기·제어시스템전공, 풍력해양·토목공학전공) 한국원자력연구원 식품공학과, 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건축공학과,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 (기계공학전공, 에너지화학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전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화학과, 생물학과, 식품영양학과, 식품공학과, 생명공학부(분자생명전공), 환경공학과, 물리학과,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에너지화학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지구해양융합부(지구해양과학전공) 한국기계연구원 컴퓨터공학과,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기계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풍력공학부(풍력기계시스템전공, 풍력전기·제어시스템전공, 풍력해양·토목공학전공) 농촌진흥청 농학과, 원예학과, 농업경제학과, 수의학과, 식품공학과, 바이오소재공학과, 생명공학부(동물생명공학전공, 분자생명공학전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농학과, 생물학과, 식품영양학과, 식품공학과, 바이오소재공학과, 생명공학부(동물생명공학전공, 분자생명공학전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소재공학과, 생명공학부(분자생명공학전공), 해양생명과학과,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기계공학전공, 에너지화학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식품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통신공학과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지구해양융합학부(지구해양과학전공, 해양시스템공학전공), 수학과, 물리학과, 환경공학과, 화학과, 전산통계학과, 해양산업경찰학과) 학·연 협동과정 석사학위 과정 박사학위 과정 학과 전공 학과 전공 수의학과 의학과 수의학과 의학과 석사학위 과정 박사학위 과정 학과 전공 학과 전공 체육학과 미술학과 음악학과 디자인학과 체육학과 체육교육과 음악학과 의학계열 예·체능 계열 석사학위 과정 박사학위 과정 학과 전공 학과 전공 식품공학과 통신공학과 환경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인공지능학과 풍력공학부 풍력기계시스템전공 풍력전기·제어시스템전공 풍력해양·토목공학전공 식품공학과 통신공학과 환경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인공지능학과 공학계열 학과(전공)
11 10 국어국문학과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과는 국어학과 국문학의 시대적 변천 및 발전 과정과 관계된 분야의 체계적인 이론을 연구한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크게 국어학, 현대 문학, 고전문학 분야로 언어학과 문학에 대해 분 석하고 연구한다. 경영학과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경영학과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 처해 나갈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전문경영인을 양 성하고 있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재무관리, 마케 팅, 인사조직, 전략 및 생산관리 등이 있고, 학생과 사회수요에 맞추어 맞춤형 Study Track을 설정하 여 개인별 특화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영어영문학과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영어영문학과는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차별화 된 성과를 낼 수 있는 최고의 교육환경을 구축하 는 데 전념하고 있다. 응용언어학, 영어학뿐만 아 니라 시, 소설, 드라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전공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사회학과 Department of Sociology 사회학과에서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과학 적인 방법을 통해 이해하고, 사회구조와 규범, 개 인과 집단의 행위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우 리가 어떻게 타자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지 연 구합니다. 우리 학과는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기 초학문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 뿐만 아니라 제주 사회와 동아시아 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층위 의 사회 현상들을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4·3융합과정과 다양한 연구 과제에 참여하여 지 역사회와 밀착한 연구 성과들을 만들어오고 있습 니다. 농업경제학과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농업경제학과는 경제학 이론을 기초로 하여 식 량·환경문제와 생명자원의 효율적 이용 등을 대 상으로 하는 응용경제학이며, 사회과학의 한 분 야이다. 농업경제학과에서는 1차 산업과 관련된 생산, 소비, 마케팅, 정책, 무역, 재정금융문제에 서부터 자원 및 환경관리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FIELD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전문 기술인으로서 지도적 인격과 독창적 능력을 갖춘 고급인재를 양성합니다 인문사회계열은 진리탐구의 기초가 되는 학문적 토대 위에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학문과 지식을 체 계적으로 학습합니다. 인문은 인간 고유의 가치를 지닌 창조적 표현으로 언어·예술·종교·철학·역사 등 인류 문화에 관한 모든 탐구의 근간이 되며, 사회는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 공성의 함양과 질서를 탐구해 스스로를 발전시키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인 재를 추구합니다.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BK참여학과
13 12 회계학과 Department of Accounting 회계학과는 회계학의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여 현실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 하고 회계학분야의 전문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 춘 전문 회계인을 육성하고자 한다. 회계정보를 과학 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산출·해석하도록 연구하 며, 주요 연구분야는 재무회계·원가회계·세무회계·관 리회계·회계감사·정부회계 등이 있다. 중어중문학과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중어중문학과는 1992년에 개설되어 1997년 대학원 석사과정, 2001년 대학원 박사과정이 개설되었다. 교 육의 주된 목적은 중국문화와 언어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및 정보기술시 대를 맞아 언어능력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과 우수한 리더십을 갖춘 학생을 양성하는 것이다. 무역학과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무역학과는 WTO/FTA 시대에 맞춰 세계 시장의 글 로벌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동시에 국가적 수요 에 부응한 국제무역 및 이론, 국제경영, 국제상학 분 야에서의 학문적 소양을 갖춘 ‘국제 무역인’의 육성 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행정학과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과는 종합·실천 학문으로써 지속적인 국가발 전계획과 다양한 정책·행정의 이론,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행정현상을 분석·비판· 개혁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전문인을 교육,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독일학과 Department of German Studies 독일학과 석사학위과정은 독일문학, 독일언어학 및 독일학 분야의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다. 거시적으 로는 독일의 문학과 문예학, 언어학 및 독일 지역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며, 세부적으로는 독일 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산업, 예술, 문학, 언어 등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익힌다. 정치외교학과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정치외교학과는 정치학의 일반이론과 실제부터 국 가현상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국가사회발전과 국제화의 시대적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관광경영학과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관광경영학과는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의 관광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국가 인력 개발 및 인력수급 계획에 기여하는 것을 교육목표 로 삼고 있으며, 주요 전공분야로는 국제관광전략 및 관광마케팅, 관광정보, 호텔 및 여행업경영 그리고 MICE분야가 있다. 일어일문학과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일어일문학과는 2002년 석사학위과정 개설에 이어 2009년 박사학위과정을 신설하여 전문적인 연구 인 력 배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고, 대학원생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어학과 문학 및 문화 분야 전문지도자의 풍부한 연구 경험과 지도 력을 바탕으로 현재 많은 연구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지적 교류를 통해 세분화된 다 양한 영역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사학과 Department of History 사학과는 사료분석 및 연구성과 분석능력을 함양하 여 한국 및 세계사의 흐름을 파악하고 세계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역사적 안목을 갖춘 미래 시민 을 양성한다. 또한 한국사와 세계사에 대한 기본지식 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속에서 제주의 역사와 문화가 지니는 정체성을 확인하고, 미래 제주사회를 주도할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철학과 Department of Philosophy 철학과는 존재와 인식과 가치의 문제를 기본 축으로 하여 동서양의 다양한 철학 사상을 반성적으로 음미 함으로써 자연과 사회와 인간을 보는 근본적인 통찰 력과 심미안을 키워 국가, 사회가 요구하는 지도자적 품성과 인격 함양을 목표로 한다. 철학은 예로부터 모든 학문의 기초였고 모태였다. 철학은 개별적인 지식과 삶을 넘어서서 삶과 세계 에 대한 보편적인 진리를 탐구하며, 개별 과학에 통 일적 원리와 방향성을 부여한다. 그리하여 포괄적인 실천적 지혜를 바탕으로 의미 있는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 가는 풍요롭고 폭넓은 세계관과 가치관을 갖게 한다. 언론홍보학과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언론홍보학과는 급격한 속도로 발전하는 매체와 커 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사회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 분석함으로써 보편타당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정 립하여 체계화시키고자 설립되었다. 또한, 도내 유일 의 언론·홍보 교육 기관으로써 사회 각 실무 분야에 서 종사하며 학업에 전념하는 재학생과 전일제 재학 생 간의 공론의 장을 마련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도모 하고 있다. 지리학과 Department of Geography 지리학의 전문 분야를 전공하는 과정으로 자연지리 분야인 지형학, 기후학을 비롯하여 인문지리 분야 인 경제지리, 도시지리, 문화지리, 역사지리, GIS(지 리정보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제주도의 생태, 환 경, 관광, 문화유산 등의 분야도 전공할 수 있는 폭 넓게 열려있는 과정이다. FIELD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인문사회계열
15 14 지속성장데이터사이언스학부 Faculty of Data Science for Sustainable Growth 관광개발학전공 Tourism Development major 관광개발학전공은 대학 내 관광개발 관련 강좌를 보 다 심도있게 개설하고 있으며 각종 관광산업에 필요 한 글로벌 전문 인력 배출을 목표로 설치된 학과이 다. 특히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의 선도 산업이자 최대 소득원으로 부상한 제주도에서 산학협동에 의한 다 양한 관광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사회적 요 구가 높고 진출 전망이 유망한 전문영역의 학과이다. 주요전공분야는 관광자원 및 위락관리, 관광정책, 관광 시설 및 리조트 설계, 여가 및 레저상품 개발 등이 있다. 경영정보학전공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major 경영정보학전공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경영과 정보기술을 융합하여 창조적 혁신을 이끌고 기업의 비 즈니스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AI) 기술 로 설명이 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은 인력 양성 에 교육목표를 두고 경영이론과 최신 정보기술, 융합 및 창의 아이디어 도출 기법 등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경제학전공 Economics major 경제학전공은 국제화 및 지역화를 적극 수용하는 글 로벌 인재, 경제 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업실무를 이해 함으로써 현장 적응력이 뛰어난 실무형 인재, 경제학 외에 경제학 관련 분야 지식을 총괄하는 통섭적 능력 을 가진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경제학은 경제주체가 희소한 자원을 이 용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분배·소비하는 과정에 서 발생하는 경제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법학과 Department of Law 법학과 박사학위과정은 학부과정에서 이수한 기초이 론을 바탕으로 법학에 관련된 다양한 학문연구 및 학 술활동을 통해 법학자로서의 소양과 자질을 배양하 고 지도적 인격을 습득하도록 하는 한편, 법학의 각 분야에 있어서 기본이론과 체계적인 법률지식을 갖 춘 법조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교육학과 Department of Education 교육학과 박사학위과정의 전공분야에는 교육공학, 교육과정, 교육사, 교육철학, 교육상담, 교육심리, 교육행정, 교육정책 및 교육법, 평생교육, 지역사회 와 교육, 특수교육 및 학습장애 등이 있다. 학생들은 교육학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학교, 대학 및 연구기 관 그리고 각종 사회 조직으 로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다. 어문교육학부 Faculty of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전공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국어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국어국문학과 국어교 육에 관한 이론과 실행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주요 전공분야는 국어국문학, 국어학, 국어교육학 등 으로 나누어진다. 영어교육전공 English Language Education major 영어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최신 연구 동향과 교 육적 요구를 반영하여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의 이 론 및 실천 방법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주요 전공 분야는 영문학, 영어학, 영어교육학 등을 포함한다. 초등영어교육전공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major 초등영어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에서는 초등영어교 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초등영 어 교과 및 지도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학계와 교육 계의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사회교육학부 Facult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사회교육전공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사회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사회과학 전반에 걸 친 지식과 그 탐구 방법을 종합적으로 습득케 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교육 방법의 연구 및 장차 유능한 사회교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사회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알 찬 교과과정의 이수를 통해 사회과교육의 중추적 기 능을 담당할 인재를 양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중시되고 있는 가치·태도 교육에 역점 을 두고 있다. 사회과교과교육 이론 및 방법론 외에 정치학, 경제 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법학, 철학, 역사학, 지리학 등 사회과학 제 분야를 다양하게 교육과정에 편성함 으로써 사회과 교사 자격증뿐만 아니라 다양한 진로 로 나아갈 수 있는 폭을 넓혀주고 있다. 지리교육전공 Geography Education major 지리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지리학의 세분 분야로 자연, 기후, 도시-경제, 역사 그리고 지리교육 분야 를 포함한다. 학생은 과정을 마치면 지리학 또는 교 육학 박사학위를 선택해 취득할 수 있으며, 지리학 분야 전반 그리고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폭넓은 지식을 발전시킬 수 있다. 초등사회과교육전공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초등사회과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다양한 사회과 학 및 인문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 현상을 비판적 으로 이해하여 사회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시 민을 기르는 교육을 연구한다. 도덕윤리교육학부 Faculty of Moral·Ethics Education 윤리교육전공 Ethics Education major 윤리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윤리교육의 이론과 경 험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인 학교 뿐만 아니라 윤리교육과 관련된 각 분야에 접목할 수 있도록 세부 관심 전공 분야별로 심도 있게 교육·연 구함으로써, 교육적 능력과 자질을 갖춘 윤리교육 전 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도덕교육전공 Elementary Moral Education major 초등도덕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초등도덕, 인성교육 과 관련된 모든 학문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석 사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이 초등학교 교육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사회의 도덕현상을 이해하고 민주시민 교육 을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현장교사에 대한 재교육을 통하여 학교 교육 수준을 높이고 교사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FIELD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인문사회계열
17 16 FIELD OF NATURAL SCIENCE 원예학과 Department of Horticulture 원예학과는 원예작물인 과수·채소·화훼에 관한 육 종·생산·이용과 조경에서의 학문적 기초이론과 기 술을 배양하고, IT(식물공장, 스마트팜)와 BT(생명 공학, 생물정보학)를 포함한 다양한 응용기술 활 용의 교육 및 연구를 통하여 제주지역에 특화된 원예산업 및 세계의 원예생명과학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 전문 인력 양성에 교육의 목표를 두 고 있다. 해양산업경찰학과 Department of Marine Industry and Maritime Police 해앙산업경찰학과는 수산동식물의 과학적 어획기 술, 선박운항기술, 해황 및 해양기상 예측기술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차세대 해양산업을 이끌어 갈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미래 해양산업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생물학과 Department of Biology 생물학과는 생명현상에 대한 기본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적인 연구방법의 습득 및 응용을 통 하여 창의 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고, 실험·실습 및 세미나를 통한 연구와 지식전달 능력을 향상함 으로써 국가 생명연구 및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 어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 야로 생명공학, 식물분자계통학, 미생물생태·유전 체, 생태학, 동물분자유전학, 식물분자생리학 등 이 있다. 농학과 Department of Agricultural Science 농학과는 식물의 기능성 물질, 작물육종, 식물병 리, 식물해충 및 토양과 관련된 분야에 대하여 체 계적으로 교육하고 연구한다. 주요 연구분야는 식 물 2차 대사산물의 기능분석, 발형체학 기반의 작 물육종, 작물의 유도저항성 기작, 천적 기반의 해 충종합관리(IPM), 토양환경 관리 등이다. 미래 첨단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과학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자연과학계열은 기초과학의 이론과 그 실제적인 응용 방법을 교수 연구하여 학문의 발전을 선도하는 창의적인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제주대학교 자연과학계열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초과학 이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산업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응용과학도를 위한 기초과학 교육을 수행하며 미래 첨단과학기술사회의 학계, 연구소, 산업계 등을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 가로 성장해갑니다.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BK참여학과
19 18 화학과 Department of Chemistry 화학과는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주변 의 여러 물질들에 대해 그 본질 및 화학적 변화를 이 해하여 급속한 과학기술의 진보에 부응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고도 산업사회 참여 및 화학 분야 실 무자로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여 관련 산업에 이바 지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생화학 그리고 특화 분야로는 화장품화학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 식품영양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식품영양학과는 석사(임상영양 포함), 박사, 석·박사통 합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식품영양학과의 주 요 세부 전공 분야는 영양(임상영양, 분자영양, 영양유 전체학), 식품(식품화학, 식품미생물학, 식품위생, 기 능성식품), 영양역학, 영양교육, 단체급식 등이 있다. 수학과 Department of Mathematics 수학과는 다양한 전공 분야를 가지고 석사학위와 박 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 다. 대학원생은 대수학, 해석학, 미분기하학, 위상, 확률론, 응용수학 등의 전공 분야를 선택할 수 있다. 대학원 과정에서 각 전공 분야별로 요구되는 일련의 교과목들을 수강해야 하며 논문 자격시험을 통과해 야 한다. 수학 비전공자인 학생은 추가적인 선행 교 과목들을 수강해야 한다. 전산통계학과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Statistics 전산통계학과에서는 소프트웨어와 통계학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과 융·복합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하 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인공지능, Cyber Physical System, 금융통계, 정보통계, 정보보안, IT-융합, 생물통계 등 7개의 연구실을 운영하며 각 분야의 연 구에 매진하고 있다. 또한 전산통계학과 교수진은 스 마트그리드, 전기자동차, 증강현실 등 향후 미래 산 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업들을 주도적으로 수행 함으로써 교육·연구뿐만 아니라 산학협력을 통하여 지역 사회와 산업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생활환경복지학과 Department of Human Ecology and Welfare 생활환경복지학과는 급변하는 생활환경 속에서 개 인, 가족 및 사회의 복지를 지향하고 실현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교육목표가 있다. 주요 전공분 야로는 가정경영 및 코칭학, 주거학, 아동·청소년학, 가족학, 소비자학 분야가 있다. 패션의류학과 Department of Fashion and Textiles 패션의류학과에서는 패션디자인, 패션마케팅, 한국 복식, 패션소재 및 의복환경, 의류설계생산, 디지털 패션설계 등의 세부 전공에 특화된 석사과정, 석·박 사통합과정, 박사과정을 운영한다. 세부 전공별로 운 영되는 각 연구실에서는 최근의 사회문화적 이슈 및 최신 기술에 기반한 다양한 이론과 실험·실습 교육 및 연구 기회를 제공하여 급속하게 변화하는 산업현 장과 교육현장에 능동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실무 전 문가, 연구원, 교육 전문가를 양성한다. 간호학과 Department of Nursing 간호학과는 2002년 석사과정을 시작으로, 2015년 박사과정이 인가되어 제주도 내에서 유일하게 간호 학 석·박사 양성이 가능한 교육기관이다. 제주대학 교 간호대학은 제주도 내 간호교육의 질적 발전에 기여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기반 교육 및 연구에 참 여하는 동시에 국제화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바이오소재공학과 Department of Bio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바이오소재공학과는 신품종 등의 생물자원개발과 생 물유래의 소재로부터 신규 생리활성물질 추출, 효능 탐색 및 기전 규명과 생명공학기술에 의한 신물질 생 산, 분리 및 정제 등과 관계된 이론을 학습하고 연구 를 수행한다. 졸업생들은 육종 등의 생물자원 개발과 생물신소재 관련 산업, 농업화학 분야, 친환경 식의 약재료 분야, 바이오메디컬 분야로 진출이 가능하다. 해양생명과학과 Department of Marine Life Sciences 해양생명과학과는 해양생물학, 해양생태계 그리고 해양생물자원생산을 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해양생 물의 다양성, 생태, 수산양식기술 및 수산자원관리에 대해 탐구합니다. 학과에서는 해양생물에 대한 포괄 적인 학문을 다루며, 해양 환경 보호와 생물 자원 활 용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해양생물 자원 활용 및 보전, 해양 바이오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해양생물 자원 관리를 위한 인재를 양성합니다. 의생명·신약개발학과 Department of Biomedicine and Drug Development 의생명·신약개발학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의약생 명과학의 변화에 부응하여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과학 자를 양성하는데 교육의 목표를 두고 있다. 학과 교육 과정은 의과학 전 분야 및 신약개발에 관한 최신의 연 구주체를 포함하며, 연구기법, 연구결과의 해석에 관 한 학문적, 실무적인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운영한다. FIELD OF NATURAL SCIENCE 자연과학계열
21 20 생명공학부 Faculty of Biotechnology 동물생명공학전공 Animal Biotechnology major 동물생명공학전공은 동물자원을 활용한 신제품개발, 신품종 및 재래품종 육종, 유전자 조작기술, 동물생 산성에 대하여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주요 전공 부야로는 크게 동물성단백질공학, 동물영양학, 동물 자원활용학, 말산업공학, 동물유전공학, 동물유전유 종학 분야가 있다. 분자생명공학전공 Molecular Biotechnology major 분자생명공학전공은 아열대 생물자원 기반의 바이오 산업 육성 및 미래 성장동력산업 발굴에 필수적인 유 전체학, 전사체학, 단백질체학, 대사체학, 생명정보학 등 오믹스(OMICS) 기반의 시스템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로 는 크게 식물조직배양 및 분자육종학, 단백질체학, 유 전체공학, 천연물화학, 응용합성미생물학 등이 있다. 과학교육학부 Faculty of Science Education 물리교육전공 Physics Education major 물리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고 지역사회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창의적이며 학생중심의 교과지도를 할 수 있는 과학(물리)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 학과이 다. 물리교과교육을 연구한다. 생물교육전공 Biology Education major 생물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지구상 생명체 전반에 대해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그 원리를 활용하여 인류 에게 풍요로운 생활을 제시하는 첨단 과학기술의 기 본이 되는 생물학에 기초를 둔 학문이다. 생물교육전 공 박사학위과정에서는 생물학 각 분야의 과목을 다 양하게 개설하고, 각 실험실별로 중점적인 연구를 수 행함과 동시에 이를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하여 세부 전공 분야의 급속한 발전에 부응할 수 있는 박사급 전문연구인력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컴퓨터교육전공 Computer Education major 컴퓨터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정보기술 및 컴퓨터 교육에 관한 풍부한 전공지식과 연구능력을 갖춘 우 수한 고급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8 년에 개설되었다. 본 전공에서는 컴퓨터과학 및 정보 기술을 위한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 득하며,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 분야와의 융합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초등과학교육전공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major 초등과학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급변하는 과학기 술의 발달로 과학교육 분야에서도 보다 전문적인 인 재양성이 필수적이므로, 이에 전문과학교육자의 양 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과교육은 과학교육, 물리교육, 화학교육, 생물교 육, 지구과학교육의 구체적인 과목을 이수하게 하고, 나아가 이에 따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내용에 대한 기초적 지식에서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심도 있는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미래에 요구되는 과학교 육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초등실과교육전공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major 초등실과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은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시설 등과 같은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영 역을 연구하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이 과 정은 초등실과교육 학사과정과 교육대학원의 초등실 과교육 석사과정과 연계된다. 융합교육소프트웨어학과 Depart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융합교육소프트웨어학과 석사학위과정은 정보기술 및 컴퓨터교육을 기반으로 융합교육에 관한 풍부한 전공지식과 연구능력을 갖춘 우수한 고급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8년에 개설되었다. 본 학과에서는 컴퓨터과학 및 정보기술을 위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융합기술을 습득하며, 연구 뿐만 아니라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 분야와의 융합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 하여 운영하고 있다. 약학과 Department of Pharmacy 약학과는 포괄적인 약학에 대해 배우는 학과로, 약학 은 약의 개발, 생산, 사용 및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약학은 인간의 생리 및 병리 현상을 이해하고, 약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찾아 내며 약이 가지는 치료 효과의 원리와 안전하고 효과 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최근 빠른 사회변화 속에 경쟁력 있는 글로벌 혁신 신약개발의 트렌드에 따른 빅데이터, 유전체 정보, 맞춤형 치료연구, 약물 재창출 및 융복합연구를 기반 한 바이오헬스산업에서 K-Pharma가 주도적인 역 할을 하고 있다. 이에 약학과에서는 제주가 보유한 다양한 생물자원을 활용한 유용소재·식의약품개발 및 제약산업을 이끌 핵심리더 양성을 목표로 약학과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과정을 2022년 신설하 였으며 제약바이오산업분야 전문연구인력을 양성하 고자 한다. 물리학과 Department of Physics 물리학과는 핵물리학, 광학, 입자물리학, 플라즈마 물리학, 반도체소자물리, 응용물리학, 양자광학 분야 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FIELD OF NATURAL SCIENCE 자연과학계열
23 22 FIELD OF SCIENCE & ENGINEERING 에너지응용시스템학부 Faculty of Applied Energy System 기계공학전공 Mechanical Enginering major 기계공학전공은 국가산업 및 기술 발전의 기본이 되는 미래기술에 창의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크 게 열·유체공학, 재료공학, 제어공학 분야가 있다. 에너지화학공학전공 Energy and Chemical Engineering major 에너지화학공학전공은 우수한 기술 인력을 양성 하기 위해 에너지의 생산·변환·이용에 대한 원리 및 기술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크게 원자력분야, 신·재생에너 지분야, 화학공학분야가 있다. 전기공학전공 Electrical Engineering major 전기공학전공은 우리 삶에 필수적인 전기에너지 를 공급하는 전력계통과 관련된 이론과 기술을 연 구한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전력계통, 전력전자, 전력경제, 전기기기, 전기물성, 초전도응용 및 제 어계측 분야가 있다. 모든 전공분야는 신재생에너 지, 전기자동차, 스마트 그리드 등 전기공학 분야 의 신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탄탄한 기초과학을 토대로 세상에 숨겨진 잠재력을 발견합니다 기초과학은 미래의 번영을 약속하는 근간이 되는 학문입니다.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터득한 자연의 원리는 공학이나 의학으로 이어져 세상을 급속도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이공계열은 각 전공 분야에서 근본이 되는 핵심교과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위에 창의성과 인류문명에 기여할 학문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인재의 창의성과 독립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며, 실습과 실험을 통해 전공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연 구에 필요한 기본소양과 의사소통의 능력을 길러주는 곳.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이공계열은 내가 아 닌 ‘우리’를 가슴에 품을 수 있는 과학적 지성, 시대를 관통하는 지혜와 열정이 숨 쉬는 곳입니다.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BK참여학과
FIELD OF ENGINEERING 전자공학전공 Electronic Engineering major 전자공학전공에서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학 부과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공 영역을 선택하여 심 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본 전공에서는 레이더 신호처리, 반도체 소자 및 공정, 임베디드 시스템, 반도체 회로설계, 플라즈 마, 나노기술 등의 분야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졸업 후 첨단과학기술 분야와 지역 전략산업분야 등 IT 기술을 필요로 하는 모든 전자 응용분야에 진출할 수 있으며, 연구소 등에 진출하여 더욱 깊이 있는 연 구에 전념할 수도 있다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Mechatronics Engineering major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은 기계, 전기·전자 및 컴퓨터 기술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한 총체적인 공학분야 융 합학문으로써 지식기반 신산업 성장과 함께 IT, BT, NT 등 첨단과학 기술 분야를 비롯하여 산업 전 분야 에서 최근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학과는 메 카트로닉스에 대한 복합응용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능동적으로 기술변화에 대 처할 수 있는 창조적인 사고와 사회참여가 가능한 인 성을 갖춘 전문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구해양융합학부 Faculty of Earth and Marine Convergence 지구해양과학전공 Earth and Marine Science major 지구해양과학전공은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자연재 해 등으로부터 지구환경을 보존하고 자원과 에너지 를 친환경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한 다. 이를 위해 해양을 포함한 지구시스템과 이에 연 계된 생물권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의 원리와 구성 물질, 생물의 특성 등 자연과학적 지식을 강의와 실 험, 선상실습을 통하여 교육하고, 자연환경 모니터링 과 현장 조사에 사용되는 각종 첨단 계측 및 탐사 장 비에 대한 기초이론과 운용 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해양시스템공학전공 Ocean System Engineering major 해양시스템공학전공은 해양에너지, 기계, 정보통신, 전자, 음향 등이 융복합된 공학 분야로 ICT 기반의 해 양 융복합 기술을 선도하며, 해양 빅데이터 및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고, 글로벌 해양 문제 해 결과 지속 가능한 해양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국제적 소양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FIELD OF SCIENCE & ENGINEERING 이공계열 25 24
27 26 컴퓨터공학과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컴퓨터공학과는 정보화 사회의 선두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창조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학부에서 습득한 이론과 실기를 더욱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경험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본 컴퓨터공학과에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지능형 시스템, 네트워크 컨버전스, 인터넷 컴퓨팅, 모바일, 가상현실&그래픽스 컴퓨팅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토목공학과는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 사람들이 편리 하고 쾌적하게 살 수 있는 공간과 기반을 만들 수 있 는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크게 해안 및 항만공학, 도로, 하 천, 도시 계획 분야가 있다. 건축공학과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건축공학과는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연구역량을 기르 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학과의 교육목표는 창조적 사고력과 실무 응용력, 도덕적 책임감 및 최 첨단 공학 지식을 배양하는 데 있다. 건축공학과의 연구 영역은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하 여 건축계획 및 설계분야, 건축구조 분야, 환경기술 분야 그리고 시공 분야로 구분되어 있다. 인공지능학과 Depart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제주대학교 인공지능학과 대학원은 최첨단 AI 기술 을 선도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자 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딥러닝 등 다양한 분야의 연 구를 통해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배출하 며, 산업 및 학계에서의 경쟁력을 갖추도록 돕습니 다. 특히, 산학 협력을 통해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한 실무 교육을 제공하여 글로벌 인공지능 산업을 이끌 어갈 리더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풍력공학부 Faculty of Wind Energy Engineering 풍력기계시스템전공 Wind Power Mechanical System Engineering major 풍력기계시스템전공은 풍력발전단지의 설계, 바람자 원 측정 및 평가, 블레이드, 드라이브 트레인 및 타워 설계, 풍력터빈시스템 통합설계, 유지보수 등의 기계 공학에 관련된 전문 교육 및 연구개발 참여기회를 제 공하여 풍력터빈시스템 및 발전단지 엔지니어링 분 야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풍력전기·제어시스템전공 Wind Power Electricity and Control System Engineering major 풍력전기·제어시스템전공은 풍력터빈 전기시스템 설 계, 차세대 발전기 개발, 통합 제어시스템 설계, 전력변 환장치 및 계통연계 등의 전기·제어공학에 관련된 전문 교육 및 연구개발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전기 및 제어, 송전시스템 엔지니어링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풍력해양·토목공학전공 Wind Power Ocean and Civil Engineering major 풍력해양·토목공학전공은 기초 및 해상풍력 지지구 조물 설계, 발전단지설계, 해양기상 측정 및 분석, 육·해상 풍력단지 지반조사, 부유체 운동해석 및 설 계 등의 해양·토목공학에 관련된 전문 교육 및 연구 개발 참여기회를 제공하여 풍력터빈스템 하부구조물 및 토목설계 엔지니어링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FIELD OF ENGINEERING 공학계열 식품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식품공학과는 기초과학과 공학지식을 이용하여 식 품개발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는 공학분야이다. 식품공학과는 식품생물공학, 식품공정학, 식품위 생학, 식품화학, 식품가공학, 첨단바이오식품소재 공학 등 다양한 식품개발에 필요한 학문과 공학기 술에 대한 전문가 양성에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통신공학과 Department of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통신공학과는 전파통신기술(RCT) 및 정보통신기 술(ICT)을 바탕으로 유·무선 통신공학 관련 분야 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전문적인 인재양성 을 교육목표로 한다. 최근 전파정보를 이용한 각종 종합정보통신망, 이 동통신 및 위성통신망 등과 융합하여 고도로 집약 및 지능화된 새로운 차원의 통신기술들이 발전하 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전파통신 및 정보통 신 관련 교과목 및 교육과정을 편성하였으며, 통 신공학전공 학생들은 음성, 영상 및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전파정보를 효율적으로 가공하고, 처리하 여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신속·정확한 정 보를 전달하여 공유할 수 있는 통신관련 기초이 론, 실험 및 실습을 비롯하여 실무능력을 배운다.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환경공학과는 1985년 개설되어 국가의 지속가능 한 성장과 환경보전에 대한 윤리를 바탕으로 환경 공학 전반에 대해 실무능력과 설계능력을 갖춘 창 의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함과 아울러 앞으로 기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능력을 지닌 인재를 양 성함을 목표로 한다. 4차 산업시대를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육성합니다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학계열은 탁월한 학제교육으로 최신 공학기술과 창의적 연구를 제공함으로 써 기술분야 각계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세계는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 빅데이터 등 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입했습니다. 테크노 기술로 일대 대전환을 이루고 있는 4차산업 의 시대에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학계열은 첨단화되고 있는 현장에 실전적이고, 아이디어 현실화 가 가능한 교육 및 연구에 매진하여 최고의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제주도의 특색있는 현장 속에서 현장중심형 교육으로 차별화된 인재를 양성합니다.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BK참여학과
29 28 FIELD OF ARTS & SPORTS 체육학과 Department of Kinesiology 체육학과는 체육학의 기초 지식 및 이론을 학습하고 체육지도, 건강증진, 경기력 향상 등 다양한 분야의 응용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한국 및 제주도 지역사회 체육 발전을 위해 개설되었다. 체육학 이론에 대한 교육과 체육관련 연구과제 참여 를 통해 연구수행 능력을 함양하며 각 분야의 학문 영역들을 심화시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미술학과 Department of Fine Arts 미술학과 석사학위과정은 전공(한국화전공, 서양 화전공, 조소전공 등)의 구분 없이 전문적인 실기 능력과 이론의 지식인을 배양하며, 창조적인 조형 예술가와 지도 전문 인력을 육성한다. 개인의 개 성에 따르는 창조력을 신장시키고, 조형예술 전 반에 걸친 연구 활동을 통하여 표현능력과 비평적 시각을 기르며 조형예술을 통하여 진리의 탐구와 새로운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인교육 을 목표로 한다. 디자인학과 Department of Design 디자인학과는 문화·공예디자인, 시각영상디자인, 공업디자인 영역의 특화된 이론 교육과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자연과 문화, 인간과 환경, 기술과 예술 을 반영한 혁신적인 디자인 시도를 추구한다. 각 디 자인 영역의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나아 가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과 실용적 디자인 기술을 겸비한 전문적인 디자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음악학과 Department of Music 음악학과(작곡전공, 성악전공, 피아노전공, 관·현 악전공)는 2005년 석사학위과정의 개설에 이어 2020년 박사학위과정을 신설하여 전문적인 음악 인력 배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음악 분야 전문지도자의 풍부한 연구 경험과 지도 력을 바탕으로 현재 많은 음악인을 배출하고 있으 며, 일련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학위를 취득한 졸 업생은 현재 교육기관, 전문 연주 단체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체육교육과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체육교육과 박사학위과정은 각 분야의 최고 엘리 트 양성을 목표로 체육교육학의 시대적 변화와 발 전과정과 함께하는 체육교육의 이론과 실기를 체 계적으로 연구한다. 주요 전공분야로는 교육학, 스포츠심리학, 무용교육, 스포츠사회학, 운동생리 학 분야가 있다. 예술과 체육을 통해 삶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만들어갑니다 인간은 창의성과 조형력, 풍부한 감수성으로 인해 다른 존재와 뚜렷이 구별되며, 예술을 통해 감정과 정서를 순화함으로써 온전한 인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체능은 온전한 인격형성에 없어서는 안 될 예술의 한 분야입니다.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체능계열은 깊이 있는 이론 연구와 철저한 실 기수업을 통해 풍부한 미의식과 건강한 신체, 경쟁력 있는 음악인 등 창조적 경쟁력을 지닌 예술가를 길러내는 한편 교육자로서의 자질도 함양합니다.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BK참여학과
31 30 FIELD OF MEDICINE 수의학과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수의학과에서는 반려동물, 산업동물 및 야생동물 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본연의 기본적인 분 야 외에도 의약품의 효능과 안전성평가, 식품위생 및 환경위생 분야의 안전성 관리, 동물실험을 통한 기초의학 및 생명공학 연구, 전염병의 방역 등 사 회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하는 학문을 교육· 연구하고 있다. 의학과 Department of Medicine 의학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의학 및 인간 생명공학 분야를 의과학적 관점에서 심도 있게 연 구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의학자를 양성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기초의학분야와 임상의학분야로 구분되며, 의학 및 생명관련 전 분야에 걸쳐 최신 연구주제에 대 하여 실험실에서의 연구수행 제반절차와 연구기 법, 연구결과의 해석에 관한 학문적, 실무적 소양 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독립적 연구수 행이 가능한 의과학자를 양성하는데 그 교육적 의 의가 있다. 소중한 생명윤리와 국제적인 감각을 지닌 전문 의료인을 양성합니다 세계적 수준의 의과학 분야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내실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는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계열은 반려동물, 야생동물, 산업동물 등 각종 동물의 질병을 예방, 진단하고 치료 하고 관리하는 수의학과와 건강한 삶의 실현이라는 사명을 바탕으로 앞선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이론 과 응용방법을 연구하는 의학과 등 지역, 국가, 더 나아가 인류사회 구성원의 건강한 삶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BK참여학과
RkJQdWJsaXNoZXIy MjIyMTUw